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 로그인
  • KHU Home
  • 발전기금
  • 인포21
  • Webmail

중남미연구소

연구소장 황수현(외국어대학 스페인어학과 부교수), 031-201-2241,
juansole@khu.ac.kr
연구위원 신명아(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글로벌커뮤니케이션학부)
곽재성(경희대학교 국제대학원)
송영복(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스페인어학과)
권미선(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스페인어학과)
박정원(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스페인어학과)
고문 임효상(경희대학교 외국어대학 스페인어학과)
연구소소개 1986년 국제지역연구원 내의 ‘중남미 연구소’라는 이름의 교책연구소로 출발한 우리 연구소는 30주년을 맞이하였습니다. 지난 30여 년간 중남미 연구소는 ‘희망과 기회의 땅’ 중남미에 대한 지평을 넓히고 라틴아메리카를 체계적으로 소개하여 중남미에 대한 담론의 장을 확보함으로써 학문적 연구의 토대를 확보하고 나아가 한국과 중남미 세계의 소통을 추구하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가속화된 지구화의 물결 속에서 세계는 기존의 대륙과 국가의 틀을 넘어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지난 수백 년간 대서양 중심의 정치, 경제, 문화적 교류가 태평양 지역으로 넘어오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적극적이고 도전적인 대응으로 우리 연구소는 스페인과 라틴아메리카, 그리고 한국을 연결하면서 환대서양과 환태평양 시각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동시에 바라보고 미래를 논의하는 소통의 새로운 물꼬가 되고자 합니다.

앞으로 우리 연구소는 한국에서 진행되었던 스페인/라틴아메리카 지역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새로운 주제를 발굴, 소개하며 이를 국내외와 공유하고자 합니다. 특히, 1) 스페인과 라틴아메리카로 대표되는 구대륙(유럽)과 신대륙(아메리카)의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교류, 2) 미국 내에 최대 소수인종으로 발돋움하면서 그 영향력을 키워 나는 히스패닉/라티노 연구, 3) 기존 연구에서 소외되었으나 그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는 중앙아메리카와 카리브 지역, 4) 마지막으로 라틴아메리카와 아시아(한국)의 교류를 중심으로 연구를 확대해 나가고자 합니다.

또한, 우리 연구소는 학문적 성과를 기반으로 국제정치, 무역통상, 해외지원 등의 분야에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의제와 적극적으로 결합할 의지와 계획을 하고 있습니다. 외교부, KOTRA, KOICA 등 다양한 정부 혹은 민간기관과 정보의 교류와 공동 작업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며, 스페인과 라틴아메리카 교육기관과의 협력은 물론 국제기구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자 합니다.
국제세미나 2005.10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있어서 지역통합과 협력, 멕시코 과달라하라
2006.09 한국과 멕시코의 사회정책,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2007.10 한-멕시코 FTA 체결 전망과 양국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2009.10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한-멕시코 협력, 멕시코 과달라하라
2009.11 한-페루 공동번영을 위한 협력, 페루 리마 공동주관: 대한민국 외교부
2010.10 The East Asia – Latin America Relations:Peace and Development Perspectives,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2011.10 New Perspectives on Economics, Societie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and the Americas, 멕시코 과달라하라
2012.10 Cultural Diversity and Strategic Cooperation in The Pacific Rim Area,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2013.07 Costa Rica - S.Korea’s Strategic Relations and Friendship, 코스타리카 산호세 후원사: 삼성전자
2013.07 Mexico – S.Korea’s Strategic Relations and Friendship, 멕시코 과달라하라, 푸에블라, 나야릿 후원사: 삼성전자
국내세미나 2011.09 “룰라정부의 사회정책: Fome Zero에서 Bolsa Familia까지” (최금좌, 한국외대)
2011.10 “인디오를 역사의 중심으로: 마리아떼기의 생애와 사상” (황수현, 경희대 스페인어학과)
2011.11 “중남미 시민운동: 아르헨티나 인권운동과 실업자 운동을 중심으로” (하상섭, 한국외대)
2012.03 “Inter-culturism and Multi-culturism: the dilemma of Guatemala” (Rafael Salazar Galvez, 주한 과테말라 대사관 대사)
2012.04 “우리나라의 대 중남미외교 추진현황” (장명수, 외교부 중남미국 심의관)
2012.05 “한국의 대중남미 국제협력 사례” (김은섭, KOICA 중남미팀장)
2012.09 “한-과테말라 여성 리더십 강화를 위한 비교분석적 고찰” (Kleinsy Bonilla, 경희대학교 스페인어학과)
2012.10 “베네수엘라 대선 결과와 향후 전망” (Yadira Hidalgo de Ortiz, 주한 베네수엘라 대사관 대리대사)
2012.11 “평화의 땅 코스타리카” (Manuel Enrique Lopez Trigo, 주한 코스타리카 대사관 대사)
2013.06 “The Brazilian Economy and Investment Opportunities” (Guido Mantega 주한 브라질 대사관 상무관)
2013.09 “칠레 대선 전망: 피노체트 넘어서기” (임수진, 경희대)
2013.10 “보르헤스와 세계문학: 성경아의 책에 나타난 보르헤스의 영향” (조민현, 대구카톨릭대)
2014.05 옥타피오 파스 콜로키움 : “옥따비오 빠스 시론” (김은중, 서울대), “옥따비오 빠스와 만해의 시에 사용된 역설” (윤영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11 비오이 카사레스 경희대, 서울대 공동학술대회 (장소: 경희대) : “비오이 카사레스와 환상문학” (전용갑, 한국외대), “비오이 카사레스와 모렐의 발명” (송병선, 울산대), “비오이 카사레스와 보르헤스의 문학적 영향 관계” (황수현, 경희대)
2014.11 훌리오 코르타사르 경희대, 서울대 공동 학술대회(장소: 서울대) : “코르타사르와 신환상문학” (전용갑, 한국외대), “형이상학적 추적자로서 코르타사르” (박병규, 서울대학교), “『팔방놀이』와 볼라뇨의 『야만스러운 탐정들』” (이경민 서울대), “상징에서 정치참여로” (클라우디아 마시아스, 서울대), “공동체의 시적 원리로서 유머와 리듬: 『크로노피오스와 파마스』” (엄지영, 한국외대)
2015.09 El cine mexicano “se impone”: la época dorada en sus mercados extranjeros “해외시장에서 황금기를 누리던 잘 나가는 멕시코 영화” (Robert McKee Irwin, UC Davis)
2016.01 “심포지엄: 라틴아메리카 연구의 십년 후를 바라본다-환태평양 시대의 새로운 거점 전략 모색” (이성훈, 서울대 / 하상섭, 한국외대)
출판 중남미여성정치 기획서
글로리아 안살두아의 Borderlands/La Frontera, The New Mestiza 번역
대외활동 라틴아메리카 여성 리더십
키워드로 읽는 라틴아메리카 문화
멕시코 문화주간 및 ‘죽은 자의 날’(Día de los muertos) 행사
프로젝트 한국연구재단 공동과제, 책임자 황수현(경희대), “중앙아메리카 근대 사상 연구: 20세기 중반 정체성 담론을 중심으로” (2016-2017)

서울캠퍼스 0244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국제캠퍼스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광릉캠퍼스 12001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광릉수목원로 195 COPYRIGHT © KYUNG HEE UNIVERSITY. ALL RIGHT RESERVED.